무슨 소리인가하면...
일단 배경 설정을 하기 위해 Vray 설정에 들어가도록 합시다. 찾아줘야 할 카테고리는 Environment입니다.
가보면 GI (Skylight)와 Background, 두 개의 항목이 있는데 GI는 옆에 써있는 것처럼 z축 위에서 전반적으로 내려오는 하늘빛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이야기할 기회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는 배경 설정을 하려는 것이 목표이니 Background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배경 설정을 위해 Background 옆에 있는 m을 누르도록 합시다. 1
클릭하면 첫 튜토리얼에서 material을 설정할 때 봤었던 Texture Editor가 나타납니다. 배경 설정을 위해 Type에서 Bitmap을 찾아서 누르도록 합시다.
Bitmap타입은 그림이나 사진을 mapping하기 위한 것입니다. 배경에 넣을 사진을 불러오기 위해 File 옆의 m을 누르도록 합시다.
불러올 수 있는 파일은 모든 타입의 그림, 사진이면 됩니다. JPEG나 BMP, PNG 등의 파일 등도 배경으로 쓸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그런 사진들은 배경으로 넣기에는 부적절합니다. 그 이유는 평면으로 입체를 감싸려 하기 때문이죠. 배경으로 쓰기 적절한 이미지는 가급적 입체로 표현된 이미지가 좋습니다. 그렇게 표현된 이미지가 대부분 HDRI라 불리는 이미지입니다. HDRI는 대충 파노라마와 비슷한 형식으로 만들어지는데, HDRI를 만들기 위해서는 카메라를 들고 전방위 360도로 사진을 찍어서 합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만들기에는 힘들기 때문에 HDRI를 구하는 것이 더 빠를 수도 있습니다.
HDRI를 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구입을 하셔야 됩니다. 그 외에 McNeel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HDRI나 기타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HDRI도 있지만 그 외의 루트로는 구하기도 힘들고 대부분 샘플로 나오는 것도 많습니다. 즉 알아서 잘 구해보세요. -.-;;
없으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에서 HDRI를 다운받아 써보시길 바랍니다.
HDRI를 불러오셨다면 몇 가지 간단한 설정을 해줘야 제대로 된 배경이 됩니다. 먼저 UVW에서 Environment를 클릭해주세요. 일반적인 이미지라면 Texture로 mapping해주시면 됩니다. (object 표면에 사진을 mapping할 때)
UVW에서 Environment를 선택하셨으면, HDRI의 타입에 맞게 mapping이 되도록 mapping 방식을 선택해줘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spherical 방식이 많이 쓰이지만, 알 수 없는 경우에는 update를 눌러 어떤 모습으로 렌더링 되는지 확인하시면서 mapping 방식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 외로 기타 설정 항목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1) Multiplier
먼저 Type 아래에 있는 Multiplier는 대충 이미지의 밝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밝으며, 어둡게 하시려면 0.75와 같이 소숫점을 넣으시면 됩니다.
2) Environment
- Rotation
Rotation이야 회전인 것을 아실테니 별다른 말은 안 하겠습니다. 아래에 들어갈 숫자의 단위는 ˚(도)입니다.
- Repeat
Repeat은 이미지가 반복되는 횟수를 말합니다. 옆에 Mirror 체크를 하면 반복될 때 이미지가 똑같은 모양으로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거울에 비친 모습으로 반복됩니다.
3) Bitmap
설정을 마치셨다면, 옵션 창을 닫으신 뒤에 렌더링을 돌려보시면 됩니다. 아래는 렌더링 결과물입니다.
이것으로 Vray로 배경 설정하는 튜토리얼을 마치겠습니다. 그 외의 튜토리얼은 언제 나올 지 기약할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한 동안 다시 Vray를 공부해야 되서... 몇 가지 팁 정도 아니면 다른 렌더러의 기본적인 사용법 정도는 올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즐거운 렌더링 생활되세요. ^^
- mapping. [본문으로]